[책] 상담 및 심리치료 대인과정접근 7 - Ch2.작업동맹형성

PART2 내담자에게 반응하기

Ch.02 작업 동맹 형성하기

  • 개념적 개관

내담자와 신뢰적 관계쌓기!가 왜 중요하고 작업동맹이 왜 중요한지 설명해주는 파트

"신뢰가 가는 반응이란 판단적인 태도가 아니라 열정과 공감적 이해를 갖고 내담자들의 문제에 대한 도움의 요청을 존중하는 것이다" <<< 어렵다고 ㅠㅠㅠ 잘 안된다고 ㅠㅠ 판단하게 된다고 ㅠㅠㅠㅠ 아마 내 자신이 판단 덩어리라 그럴것 ㅠㅠ

- 상담의 목적: 내담자로 하여금 특정 상황의 문제 뿐 아니라 미래 예상되는 스트레스요인/상황을 다룰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자기효능감)을 갖도록 하는 것

- 위기 = 성장기회

- 작업동맹(working alliance): 가장 치료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내담자의 주도성/책임감을 격려하면서 상담자에 대한 요구를 만족시켜주기

 

  • 작업동맹

: 첫번째 치료단계의 기본목표 = 작업동맹 구축

- 작업동맹 > 내담자가 상담자를 유능하고 신뢰할 만한 동맹관계로 볼 때 형성

[작업동맹 형성을 위해 전달해야 할 4가지]

  • 상담자가 내담자의 곤경이해/고충인지하고 있다는 점
  • 상담자가 내담자와 함께 느끼고 그들의 고통에 공감한다는 점
  • 상담자가 진정으로 내담자에게 최선의 관심을 갖고 있으면 그들 편에 있는 동맹관계라는 점
  • 상담자가 이 곤경에서 지속적으로 변함없이 내담자를 돕는 데 헌신할 것이라는 점

[작업동맹에 들어가는 과정 3가지]

  • 문제가 무엇인지 동의하고 공동 치료목표 갖기
  • 목표달성을 위한 접근방법의 설정에 협력하고 동의하기
  • 믿음/동의/전문성에 기반 둔 협력적 관계 개발하기

~ Rogers의 진솔성, 긍정적존중/수용, 정확한 공감적 이해와도 연결

 

>> 내담자가 상담관계를 안전하고 상담자가 자신을 이해한다고 느껴야만 형성된다.

상담자가 감정적으로 집중하고 공감하는 자세를 보이며 어떤 판단 없이 진심으로 다가가려는 모습을 보여야 함.

<< 잘 안된다. 나는 솔직히 감정적으로 공감이 잘 안되고 내담자가 귀찮아지고 있다... ㅠㅠ 왜 초반에 수비 선생님들이 한명 한명 소중히 여기는 마음을 잘 간직하라고 했는지 알겠다. 1년반 지나고 매주 여러명을 상대해야하다 보니 무뎌지고 무감각해지는거 같다.....ㅠㅠ

 

이제부터는 그럼 "어떻게" 작업동맹을 맺을지를 보자>>>

 

(1) 공동협력: 지시적 및 비지시적 유형의 대안

- '기대를 분명히 하기' + 그 기대를 행동으로 보여주기

- 내담자도 동등하게 참여를 해야하는 파트너십임

  • bad case: 내담자 변화를 설득하고 변화에 미온적인 내담자를 직면시키는 상담자 > 거부감 증폭
  • good case: 공감으로 내담자 관점 이해에 중점을 두고 변화에 대한 그들의 동기/관심을 이끌어내고 내담자가 원하는 행동을 탐구

ㅠ.ㅠ 내가 완전 전자다. 미온적일때 답답하고 그래서 어쩌라고 여기 왜 왔는데 하는 생각이 들게 된다 ㅠ.ㅠ 예전에는 그러진 않고 내가 뭘 잘 못했나? 어떻게해야하지? 하고 패닉이었던거에 비하면 어쨌든 변화가 생기긴 했는데, 이제는 뭐랄까.. 안타까움, 도와야한다는 마음 같은건 많이 내려간거 같다. 그냥 그들도 잘 살 수 있을 거라는 생각....... 그때에 비해 나 자신이 되게 안정되서 그런가.........나도 힘들땐 되게 힘들었는데, 개구리 올챙이적 잊듯 금방 체감이 안되니 멀어지는 거 같다. 그 감각들이.

 

good case가 되기 위해 할 수 있는 것들

  • 상담에 대해 무엇을 알고 있는지, 그들이 갖는 상담에 대한 기대 탐색, 과거 치료경험 무엇이 도움이 되고 무엇이 그렇지 않았는지 묻기(과거 상담 경험 탐색)
  • 어떻게 함께 작업해나갈 수 있을지 그들의 생각과 제안 들어보기 << 이건 솔직히 잘 신용이 안간다. 내심 내 안에서 내담자를 나보다 잘 모르는 존재, 라고 생각하고 있는걸까. 근데 한편으로는 그들이 잘 기능해온 과거의 사례를 탐색할때 이 부분을 물어보고 신용하긴한다.

 

내담자들이 상담에 갖는 오해

: 의사처럼 명확한 처방을 해줄 것이다, 조언/설명/해석을 줌으로써 변화에 대한 책임을 져줄 것이다

<< ㅋㅋㅋㅋ후자는 내가 내 상담쌤한테 갖는 지분인거 같기도 하다. 가지면서도 동시에 싫음. 결국 내가 원하는대로 안하면 싫은것도 마찬가지지. 에휴

 

 

그보다는 상담 과정을 내담자들이 이해하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해야 한다! 이게 구조화에서 들어가야 하는 부분일까..


내담자들의 '변화이야기(change talk)'를 장려하라는데 그게 어떤 건지 잘 모르겠다. 스스로 변하고 싶어요 하는 걸까. 그런 말을 들은 적이 거의 없다는 생각도 든다 ㅠㅠ.... 내가 내 상담때 한 적은 있긴 한거 같다.. 이휴.. 쉽지 않네..나도 변화의 필요성을 받아들이는데 되게 오래 걸렸던거 같다.

[작업동맹에 내담자를 참여시키기 위해 다음을 함께 탐색해보기(사정/평가)]

  • 주요 이슈/걱정: 뭐가 지금 가장 괴로운지
  • 과거 내담자/다른 사람이 한 일 중 도움이 된 일, 도움이 되지 않은 일
  • 공유된 치료목표, 그걸 성취하기 위해 어떻게 최선을 다할 수 있을지 브레인스토밍 해보기

 

오늘은 여기까지

잡념이 계속 떠오르고 자존감이 떨어지면서 잘 안 읽힌다.

나는 상담을 사실 두려워하고 있는걸까. 잘 못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 피하고 싶은거 같기도 하다. 그냥 어려운 것과 책임을 모두 회피하려는 걸지도.

 

[책] 상담 및 심리치료 대인과정접근 6 - 서론:가족문화영역

PART1 서론 및 개요

Ch.01 대인과정접근

  • 이론적, 역사적 맥락

(3) 가족/문화영역

b. 문화적 맥락

- Minuchin: 가족관계의 구조를 구성하는 동맹/연합/하위집단에 대한 탐색

- 3세대 관점에서 볼때 더 잘 보임. 패턴화되고 규칙 체제가 반복 발생하는 것.

- 문화적 맥락 고려 필요: 자신의 욕구와 원가족의 요구 사이에 균형을 유지하려고 분투하는 내담자. > 건강한 역할 모델 찾게 도와주기

- 문화적 역량(스스로의 가치편향 인식, 상담자 지식수준 및 기술) > 성취된 신뢰성 형성에 도움
: 내담자 경험과 일치하는 언어를 사용하면 상담성과 향상!

- 가족/문화요인 확인하면서 내담자을 현실적으로 평가하기

- "가족구성원을 비난하거나 희생양을 만들지 않으면서 가족 간의 아픈 상호작용을 이해하려고 노력"해야 함
: 내담자는 상담자가 부모를 비난/거부하려고 할 때 부모에 대한 죄책감/충성심때문에 좋아지기가 더 어렵다. 상담자 자신의 분리방어, 이분법적 사고를 주의할 것. 

좋은 접근: "어머니가 그렇게 하셨을 때 상처를 많이 받았겠어요"
비효과적 접근: "어머니가 그러셨다니 믿기지 않아요, 정말 끔찍하네요"

- 모든 가족은 좋은 면을 갖고 있다!

- 내담자는 자기를 희생해 부모를 보호하려고 한다. 그건 양육자의 건강한 측면과 연결되고 싶어해 부모를 단순 거부하거나 단절하려고 하지 않는 모습일 수도. 상담에서는 '부분적 동일시'로 건강한 부분을 내면에 살아있게 도와야 한다.

- 즉, 내담자가 원가족의 긍정적, 부정적 사실 모두를 받아들이도록 돕기///
     ㄴ 분리 방어나 이분법적 사고는 통합에 저해. 부모를 '나쁘다'고 거부하지 않기
     ㄴ 상처받은 아이 이상화, 내담자를 상담자와 동일시 하는 것도 방해됨. 내담자가 가족문제를 부인하거나 이상화를 할때 지지하지 않기

<< 방향성은 알겠는데 여전히 '어떻게'해야할지 모르겠다. 그리고 내담자마다 받아들일 준비가 다 다른거 같은데 그건 어떻게 해야할지. 예를 들면 한 내담자의 경우는 끝까지 자기가 피해자인거처럼 부모를 두려워했는데 내가 그게 본인 자신이 가진 모습일 수도 있을거라고 한게 역효과가 난거 같았음. 흠.. 그건 자신을 공격당한 느낌에 가깝긴 했겠다.

 

c. 발달 경험은 상담자가 내담자를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다

가족경험이 개인에게 깊은 영향을 미치는 이유 2가지

      1) 정서가 실린 동일양식의 상호교류가 가족생활에서 수천번 반복되서

       → 강력한 학습 재료가 됨

 

이 말들이 너무 좋다. 이게 진짜 사례개념화의 기반이 되는 듯

"사람들의 삶에서 가장 중요하고 지속적인 문제는 이런 습관적인 반응 패턴에서 발달한다"

"장기간의 증상과 문제는 고립된 외상사건(충격외상)에 의해서가 아니라 반복적인 가족 내 상호교류 유형(긴장 외상)에 의해 형성된다"

 

사람들이 대개, 아니 나 자신이, 뭔가 '사건'이 영향을 미칠거라고 생각하는데 내담자들은 보통 그런걸 물으면 잘 기억을 못하거나 없다고 대답한다. 왜냐면 그게 정말 없었기 때문인거였다. 그보다 일상 관계에서 누적되고 중첩된 이 패턴과 주제가 핵심이었다..! 진짜 생각 못해본 관점인데 정말 많은 도움이 되네. 책에서도 '훈련 중에 있는 많은 상담자들이 패러다임의 변화를 경험'한다고 써있음 ㅋㅋ 선견지명 최고다. 반대로 보면 다 나랑 비슷한 걸지도. ㅋㅋ

 

     2) 정서의 강도로 증폭됨

     - 애착대상은 자녀 세계의 중심이므로 죽기살기 태도로 의존
     - 내면화되고 인식의 기초를 형성 - 상호작용으로 상처/좌절, 인정/격려를 혼합하여 경험
     - 가족경험으로 최초의 인식틀이 형성되고 오래도록 정서에 관여하게 됨

 

하지만 상담으로 '재학습'될 수 있다는 관점으로 상담사들은 노-력 하고 있다

이렇게 서론이자 Part1, Chapter1은 마무리!

 

=맺음말=

- 현실적인 기대를 가져라, 말은 쉽지만 숙련된 실행은 어렵다 ㅋㅋㅋ공감합니다...

- "특히 내담자를 만나기 시작한 처음 1년 동안은 더 배울수록 더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 수 있다" ㅠㅠㅋㅋㅋㅋ 이제 1년반이니 아주 그럴때군 ㅋㅋ.........ㅠㅠㅠ

- "초보 상담자는 상담자 역할에 충실하려고 하기 보다 내담자와의 관계에서 자기 자신이 되는 것이 좋다." 그런거 같다. 요즘 든 생각이 내가 친구였으면 더 공감 잘해줬을거 같다는 것. 상담자로 있으니까 가면 쓴거처럼 말하고 분석하려들다보니 공감 포인트를 계속 놓친다. '쓸모 없는 무장'을 해제해도 괜찮다, 오히려 좋아!

=연습활동=

Q.당신의 현재 수련 단계에서 내담자를 만날 때 가장 많이 불안한 것은 무엇인가?

A.2022년 현재 기준, 이제 상담수련한지 1년 반 정도 됐는데 문제에 대해 '재경험'을 어떤 방식으로 도와야할지 전혀 모르겠어서 불안함. 도움을 줘야할거 같은데 도움이 안되는 거 같아서 미안하고 오히려 시간 낭비나 상처를 입히는게 아닐까 걱정됨. 또 내담자가 날 무능하고 공감 안해주고 기분 나쁘다고만 생각할거 같아서 걱정됨. 상담이 무의미하다고 느낄까봐.

 

[책] 상담 및 심리치료 대인과정접근 4 - 서론:대상관계/애착

PART1 서론 및 개요

Ch.01 대인과정접근

  • 이론적, 역사적 맥락

: 여러 이론에서 대인관계요소만 뽑아서 공통점을 제시해준다. 그갈 3가지 영역으로 설명하겠다!

(1)대인관계 영역

- Sullivan: 내담자의 과거 발달적 고착보다는 현재 행동과 대인관계를 강조(프로이트와의 차별점)

- 불안을 피하거나 통제하기 위한 행동에 초점을 두고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상처/불안에 대한 상호작용에 관심

- sullivan이 말하는 성격: "개인이 불안을 피하거나 최소화하며 자신에 대한 거부로부터 자신을 지키고 자기존중감을 유지하기 위해 취하는 대인관계 전략의 집합"

< 구구절절이 맞다

>> 자기체계

: 관계패턴을 학습하면 이후 불안을 피하거나 최소화하기 위한 방향으로 체계적으로 행동한다고 봄.

결국 우리 사람도 하나의 시스템이라는 것. 그걸 그래서 고치거나 다시 세울 수 있다고 보는 거 아닌가 싶다. 시스템이기 때문에 완벽할 수도 없고 고정된것도 아니고..

 

여러 대인대처양식으로 사람들이 만든 대인방어는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해 발달된 것으로, 다른 인간관계에 경직되게 적용되거나 과잉일반화되면 이후에 같은 과거의 상처와 불안이 반복될거라고 예측하는 "습관적 행동 패턴"을 만든다고 한다. 

< 보통 이게 문제가 되서 상담실을 오게 되는거 같다. 나도 그렇고.

 

애착이론의 내적작동 모델, 인지행동의 초기 부적응도식이 여기서 발전한 개념이라고 하는 듯.

 

(2)인지적 영역

a. 대상관계와 애착이론: 내적 작동 모델

- 대상 = 중요한 양육자에 대한 내적 표상

- 내적작동모델(internal working model):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지속적인 정신적 표상. 자아감 발달, 대인관계 영역 조직화, 관계패턴 형성의 기본구조 제공 역할.

< 즉, 인간관계를 맺는 기본 틀/주형이 된다는 말이고 그 결과로 내 자아감도 발전한다는 거다.

- 우리가 타인과 안전하고 지속적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구, 애착을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

- 표상모델 > 이후 일어날 일에 대한 기본적 기대/지도를 제공

- 불안정애착 3가지: 회피(avoidant), 불안/양가적(ambivalent), 해체된(disorganized). 

  • 회피: 부모가 지속적으로 요구를 무시. 사이비 독립성을 일찍 발달시킴. 이들의 반의존성은 실제경험/진실한 정서적 필요와는 다른 것.
  • 불안/양가적: 부모가 내 옆에 있을지 확신할 수 없어 자주 요구하고 징징거리고 큰 걱정/불안을 나타내고 상반/혼합된 메세지를 보냄(저리 가/가까이 와). 성인대인관계에서 의존적이고 요구사항이 많고 상호성이 부족
  • 해체: 트라우마/학대/방임적 부모의 자녀. 위로 자원인 부모가 동시에 공포의 대상. 경계선 성격장애처럼 심각한 정신질환의 우험성이 높고 자기파괴적/해리적 경험을 할 수도 있음. 상대를 신뢰하지 못하면서도 상대의 충성/헌신에 극도로 민감, 강제적 태도를 보이게 됨.

b. 대상관계 내면화하기

- 보호자: 위로와 보호의 자원. 자녀는 이들과 정서적 유대를 만들고 유지하고 싶어하는 동기를 가짐

- 문제: 애착유대의 위협/파괴(분리불안, 유기공포) > 불안 = 유대가 위협받고있다는 신호

- 내면화: 부모가 준 사랑을 자신에 대해서도 갖게되는 것 > 안정적 애착은 스스로를 위로하고 정서조절, 독립적 기능 할 수 있는 성인을 만듦. 필요시 적절한 도움/지지를 이끌어내고 자기존중감의 자원이되고, 인간관계에서 이를 재생산해냄

- 반면에 불안정한 애착이 형성된 경우 괴로움을 처리하는 방식이 애착유형에 따라 다름

ex. 해체된 애착: 나 자신이 조금 달라지거나 좋아지면 부모의 사랑을 받을것이라고 믿음 ㅠㅠ
~ 자기비난의 왜곡: 부모를 이상화하고 상황을 통제가능한 것으로 만듦. "내가 잘하지 못해서 아빠가 날 때린거에요" ㅠㅠ 이런 사람들은 계속해서 애착대상에게 무시당하고, 자신을 비난하고, 과거 잘못을 스스로 책임지려고 하고, 건강한 선택을 할때 오히려 불안하거나 스트레스를 받고, 증상을 충실히 유지하고 싶어함 ㅠㅠㅠㅠㅠㅠㅠㅠㅠㅠ짜증나지만 나도 그런거 같다 ㅠㅠㅠㅠ

증상을 유지해야만 좋은 유대를 유지할 수 있다고 믿기 때문. 이러한 증상으로부터 멀어지면 홀로남게 되거나, 무기력하게 되거나, 버림받을 것에 대한 '애착 공포'가 생긴다고 한다. 젠장!!!! 진짜 그런거 같다. 그래서 머리가 아팠던거 같다. 이를 수정하는 것이 교정적 정서 경험이라고 하네.

최근에 상담쌤한테도, 전남친한테도 이런 느낌을 받았던거 같다. 상대는 날 싫어할거같다고 느끼고, 내가 괜찮은 사람임을 증명해야만 버림받지 않을거 같고, 사랑받고 싶은 대상은 내가 필요할 때 내 곁에 없는 대상이라는 느낌. 허참 ㅠㅠ

오늘은 여기까지

일어서자 걷자 숨쉬자 눈 뜨자 by 테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