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으로 가는 길

자신이 무엇에 의해 행복하고 어떤 상황에 의해 행복하고 누구와 있을 때 행복한지 아는 사람은 행복을 얻을 것이다.



대부분의 행복하지 못한 사람들은 자신이 진실로 행복하게 느끼는 순간을 놓치거나 알아차리지 못하거나 전혀 알지 못하기 때문에 불행하다.

'생각 기억 느낌 > 나 관찰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침일기  (0) 2016.07.05
와닿은 말들  (0) 2016.06.16
버스 맨 앞자리  (0) 2016.05.12
근황  (0) 2016.05.09
최근에 떠오른 질문들  (0) 2016.05.04

니제르 UNDP 개발협력 사례

http://www.undp.org/content/undp/en/home/ourwork/ourstories/reduire-les-risques-climatiques--le-niger-sadapete--.html






단상

: 결국 선진국의 발전으로 악화된 기후변화의 대가를 후진국이 떠맡으면서도 거기서 GMO 실험을 하는게 과연 옳은 것인가, 그들은 이미 선택권이 제거된 상태인 듯.



캐나다는 왜 펀딩을 했을까? 캐나다와 아프리카의 관계는?



토종씨앗보다 GMO가 우월하다면, 정말로, 토종씨앗을 보존할 필요는 없는걸까? 왜 보존하자고 하는 걸까?




#3 시민을 위한 과학자단

과학자들이 필요한 시대이다. 마치 환타지 세상에 마법사가 힘이 있는 것 처럼!

IT쪽은 큰 장비 없이 전문가가 활동할 수 있어 민간인의 참여가 활발한 반면 여타 과학 분야는 억대-수백억대(...)의 지원비가 있어야만 실험이 가능한 경우가 많아 일반인 수준에서 하기가 어렵다(독학이 가능했다고 한 경우).


예를들면 4대강의 실제 환경에 미치는 영향, 이번 옥시 제품 등의 가습기 살균제 인체 조사, 그 외에도 GMO가 인체에 미치는 악영향, 서울의 미세먼지 원인 규명 등등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치지만 사람들이 알아낼 수 없는 것들을 시민들의 의뢰를 받아 수행하는 과학자단체 또는 연구기관이 세워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문제는 연구비 충당 부분이다. 시민들이 아무리 동조한다고 해도 수백억을 내달라고할 수 있을까...? 게다가 실험이란 것들은 하루이틀에 끝나는 것이 아니다.

물론 이 모든 문제는 정부에서 지원하면 해결되는 것인데, 정부를 바꾸는게 더 빠른 걸지도?

하지만 경찰이 있는데도 탐정이 있는 것처럼
구멍이 생길 수 밖에 없는 곳을 메꿔주고 가려운 것을 긁어줄 그런 단체가 있다면 견제 측면에서라도 무척 도움이 될 것 같다.

일어서자 걷자 숨쉬자 눈 뜨자 by 테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