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6. 20. 12:25 學問如逆水行舟/자연+환경+생태
동아프리카에서의 농업 생산과 관리에 생태계 서비스와 생물다양성의 주류화
(Mainstreaming ecosystem services and biodiversity into agricultural production and management in East Africa)
2016 FAO 출간
부제: 국가 단위의 생물다양성 전략과 수행 계획이 농화학 제품 사용을 최소화 하는 것의 실용성 고려
초록: 이 가이드라인은 기술적 측면에서 국가가 농업에 있어 생태계 서비스와 생물다양성을 주류화 시켜야 하는 필요성을 보여준다. 더 자세히 말하자면, 생물다양성 전략과 수행계획을 수립하고 시행하려는 국가들이 생태계 서비스를 - 그것들을 관리할 수 있는 기회도 - 농업생산체계에 고려하는 것을 돕기를 목표로 하고 있다. EU의 지원금을 받아 시행된 "AC P 국가들의 다자간의 협약에 관련한 역량개발(MEAs)" 프로젝트를 통해, 동아프리카 지역에 초점을 맞춰 주로 케냐에서의 실제 사례들을 우선적으로 담고 있다. 실용적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국가로 하여금 MEAs와 시너지 효과를 내는 역량을 갖출 수 있고, 생물다양성과 생태계 서비스 관리 기회를 확인하여 농화학 제품 투입을 줄이는 것을 돕고자 한다. 여기에서는 기술적, 기관 단위적, 정책적 수준을 모두 다루었다. 이 문서는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서비스에 연관된 세부 주제의 전문가들이 준비한 기술적 문서의 결과이기도 하지만 또한 사회적이고 토속적이고 전통적인 지식과 같은 다각적인 면을 담기도 한다.
원문 다운: http://www.fao.org/documents/card/en/c/f60bee66-969d-49c4-8f3f-833eeaa3a119/
총 170페이지...
기후변화가 스리랑카 차 산업에 미치는 영향과 유엔의 지속가능한 대안 (0) | 2017.04.06 |
---|---|
UNDP JPO (0) | 2017.01.28 |
페이스북 saved 정리 중 (0) | 2016.10.28 |
니제르 UNDP 개발협력 사례 (0) | 2016.05.26 |
[the Nature Conservancy] 탄자니아에서 본 기후 변화, 보건, 인구 역학 (0) | 2016.03.28 |
Copyright © The deeper, the further. All Rights Reserved. | Designed by CMSFactory.NET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