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5. 18. 10:00 생각 기억 느낌/나 관찰일기
삶을 채우자. 배우고 열광하자
다행이다. 오늘 밤은 후회가 아니라 기회로 가득차서.
내가 좋아하는 것으로 나를 정의하자
달성하고 성취하려하는 작은 목표들을 이루자
행복은 뭔가 큰 무언가를 이룰때 오는게 아니다
지루한 삶을 재밌는 소중한 것들로 채우고
지금 내 앞에 있는 것들을 해내면서 매순간을 충만하게 느껴라
-
내가 잘 못하는 것들
큰 무언가를 이루려고 노력하다보니 현실에 발을 붙이지 못하고 일상의 행복을 모른다
창업교육 (0) | 2017.09.04 |
---|---|
이카리 신지 (0) | 2017.03.12 |
나의 WHY, Who am I? (0) | 2017.01.30 |
에반게리온 (0) | 2017.01.08 |
MBTI: ENFP-T (2) | 2016.12.13 |
2017. 9. 4. 18:36 생각 기억 느낌/나 관찰일기
정리해보자
1. 뭐든 내가 좋아하는 걸 해야한다.
- 자연, 여행, 그림 그리기 etc.
2. 시대의 변화를 알아야한다.
- 단순 반복, 비창의적 발상은 기계로 대체될 시대
3. 내가 좋아하는 걸 남에게 가르치거나 돈을 벌 수 있을 정도로 실력을 쌓는다.
4. 내가 관심있고 잘하는 것을 시대에 맞게 구조화한다.
- 수익 구조를 만든다.
4-1. 내가 좋아하는 단어를 검색해서 관련 직업군의 사람들을 찾아본다.
5. 처음부터 올인하지말고 관련 산업의 사람들을 만나서 모임에 참여하고 네트워크에 들어가본다.
6. 혼자가 아니라 팀으로 일하기 시작하고 자신의 자원을 분할하여 작게 시작해본다.
졸업축하연설 - 꿈을 좇지마라 (0) | 2018.05.18 |
---|---|
이카리 신지 (0) | 2017.03.12 |
나의 WHY, Who am I? (0) | 2017.01.30 |
에반게리온 (0) | 2017.01.08 |
MBTI: ENFP-T (2) | 2016.12.13 |
2017. 3. 12. 00:01 생각 기억 느낌/나 관찰일기
- 현실에서 도망치는 것은 아이같은 거야
- 도망치면 안돼
- 넌 미움받는 걸 두려워하는게 아니라 너 자신이 상처받는 게 두려운거야
- 넌 항상 미안하단 말부터 해서 스스로가 나쁘다고 생각해버려, 그게 자학적 태도란 말야
-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네 스스로 생각하고있어
- 넌 싫은 것에는 눈을 감고 귀를 막으며 살아왔어
모두를 타인을 위해서 에바를 타는건가?
- 그것이 모두를 위한거라면 좋은 일이잖아. 그러면 모두가 날 소중히 대해주잖아
결국 자신을 위한 일이잖아.
그러고는 또 금방 자신에게 변명하고 있어.
다른 사람을 위해 열심히 하는 거야-
라고 생각하는 자체가 속 편하게 사는 거라구
넌 외로운거야
그건 단지 의존이야. 공생관계일 뿐이잖아
사람들이 널 찾아주기만을 단지 바라고 있을 뿐이라구
사람들에게 행복을 얻기 위해 단지 기다리고 있을 뿐이잖아- 거짓 행복을.
다른 사람에게서 자신을 찾고 있어.
홀로 되는 것이 두려운거지?
다른 사람들이 사라지면 자신도 사라지게 될테니까
그게 무서운 거지
지금 자신이 싫다고 말하고 상처 받으려고 해선 안돼
그건 단지 순간적인 벌을 받은것으로
자신을 눈속임하려는 것에 지나지 않아
하지 않는게 좋아
인정받고 있는건
인정받으려고 연기하고 있는 자신이지
진정한 자신은 아냐
아니, 넌 간단한 쾌락에 빠지고 싶을 뿐이야,
순간적인 도피로 마음를 달래고 싶을 뿐이야
- 이제 모든게 정해져 있는 세상이잖아
아니, 네가 정하고 있는 세상이야
네 마음이 그렇다고 정하고 있는 세상이다
[그것이 현실]
살려고 하는 의지도
죽고싶다고 생각하는 마음도 모두 네 자신이 바라는 것이야
- 이 암흑도, 이 엉망인 세상도, 모두 내가 바랬던 세상이라는거야?
폐쇄된 자기 혼자만이 편한 세상을 넌 바랬던 거야
자신의 약한 마음을 지키기 위해
자신의 쾌락을 지키기위해
이건 그 결과에 지나지않아
닫힌 공간에서는 너 혼자만의 세상으로는
사람은 살아갈 수 없어
하지만, 넌 세상의, 자신을 둘러싼 세상의 폐쇄를 바랬어
싫어하는 걸 배제하고
보다 고독한 세상을 바랬던 네 자신의 마음
그것이 이끌어 낸 작은 마음이 평온한 세상
네 자신이 이끌어 낸 이 세상의 최후다.
-----
- 역시 난 필요없는 아이야
나 같은 건 어떻게 되든 상관없어
어떻게 되든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도망치고 있는 거지? 실패하는 것이 두려운 거지? 사람에게 미움 받는 것이 무서운 거지? 약한 자신을 보는 것이 두려운거지?
- 즐거운 것만 하고싶어
외로운 건 싫어?
-싫어요
괴로운 건 싫어?
-좋아하지 않아
그래서 도망치는 건가?
-그래. 싫은 것에서 도망치는 게 뭐가 나쁘다는 거야!
- 괴로운 것으로부터 도망쳐도 괴로워졌어
도망치는 건 이제 싫단말야
도망치지 않아.
그건 단지 도망치는 쪽이 더 괴롭다고 느끼고 있을 뿐이기 때문이야
- 그치만 도망치면 누구도 상대해 주지 않아
괴로운 건 너 혼자가 아니야. 그렇게 생각하면 편하니까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 뿐.
- 나 같은건 어떻게 돼도 상관없어!
그렇게 해서 곧 자신의 가치를 내 버리고 있어
그렇게 생각해서 아무것도 하지 않으면
상처 입을 일도 없어
사람들에게 칭찬받는 걸로 자신을 유지하고 있는거야
자신에게는 처음부터 가치가 없다고 생각해 버리는 것 뿐이야
- 그래서 에바에 타는 거야
에바에 탐으로써 나는 존재할 수 있어
에바에 타기 전 나는 아무것도 아니야
그 외는 아무것도 없어
내겐 아무것도 없어
[살아 가는 가치가]
내게는 없어
[그래서]
나는 내가 싫어.
네가 싫어
싫어
싫어
싫습니다
너무 싫어
싫어
모두가 그렇게 생각하고 있어
- 그렇게 생각하고 있을 뿐이잖아?
난 내가 싫다고!
- 그러니까 모두가 그렇게 생각하고 있어
하지만 에바에 타면 칭찬해주잖아
- 그러면 기쁘니?
기뻐
기쁘지 않아
- 어느것이 진심?
둘 다
나에게는 에바밖에 없으니까
- 그러지 않으면 자신을 유지할 수 없는 거구나
하지만 에바에 의존하게되면 에바 그 자체가 네 모든 것이 되어버려
진정한 네 자신은 어디에도 존재할 수 없게 되버려
- 상관없어, 원래 내게는 아무것도 없었어!
스스로 아무것도 하지 않았을 뿐이잖아
- 하지만 지금은 에바를 타잖아!
그러다 에바가 사라지면 넌 아무것도 못해.
싫어하는 것은 거절.
원하는 건 접촉과 허락.
여기에 있어도 좋아?
- 무엇을 원해?
불안의 해소
괴로움의 해소
내게 가치가 필요해
누구도 날 버리지 않는, 소중히 해 줄 가치가 필요해
- 그건 네 자신이 네 가치를 인정하는 수 밖에 없어
그래서 난 누구지?
누구도 나 같은걸 알아주지 않아
- 너 바보니? 그건 당연하지
누구도 너 같은 건 몰라
널 돌보고 이해할 수 있는 건 네 자신 밖에 없어
그러니까 네 자신을 소중히 해
그런말 한대도 내 자신이 없어, 모른다고! 소중히 생각될 리 없잖아!
[불안해]
- 역시, 불안하구나
지금의 너,
지금 네 주위의 사람들
지금의 널 둘러싼 환경
어느 것도 영원히 계속되는 것은 없어
네게 있는 시간은 항상 흐르고
네 세상은 변화의 연속으로 되어 있어
무엇보다도 네 마음이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언제라도 변하는 것이야
----
자유의 세상엔
아무것도 없어
- 내가 생각하지 않는 한?
그런... 어떡하면 좋을 지 모르겠어
불안하구나
자신의 이미지가 없구나
너무 막연해
아무것도 잡히지 않는 세상
[그것이 자유]
네가 맘대로 해도 좋은 세상
하지만, 넌 불안하구나
어떻게 해야 좋을 지 모르고 있구나
- 어떻게 하면 좋죠?
아무것도 없는 세상
나 이외에는 아무것도 없는 세상
난 점점 모르겠어
내가 없어져 가는 느낌
나라는 존재가 사라져간다
- 자기 이외의 존재가 없으면
넌 자신의 형태를 모르게 되니까
[자신의 이미지]
- 그래. 타인의 형태를 보는 것으로 자신의 형태를 알게 되는 거야
나는 나다. 단, 타인들이 내 마음의 형태를 만들고 있다는 것도 확실해.
지금의 내가 나 그 자체가 아냐
수많은 내가 있을 수 있어
그래, 에바 파일럿이 아닌 나도 있을 수 있어
- 그렇게 생각하면 이 현실세계도 결코 나쁘지 않아
현실세계는 나쁘지 않을지도 몰라. 그치만 난 싫어
- 현실을 나쁘게 싫다고 단정짓는 건 네 마음이야
현실을 진실로 옮겨 놓는 건 네 마음이야
단지, 넌 사람에게 귀여움 받는 것에 익숙해져 있지 않을 뿐이야.
그러니까 그렇게 사람들의 눈치만 살필 필요는 없는거야
- 하지만, 모두가 날 싫어하잖아요!
너 바보니? 네가 혼자서 그렇게 생각해 버리는 것뿐이잖아
- 그치만, 난 내가 싫어
자신이 싫은 사람은 타인을 좋아하고 신뢰할 수 없어
- 난 비겁하고 소심하고 졸렬하고 겁쟁이고..
자신을 알면 자신에게 관대하게 할 수 있어
_ 난 내가 싫어
그치만 좋아하게 될 지도 몰라
난 여기에 있어도 좋을지도 몰라
그래, 난 나 밖에 없어
난 나야
나로서 존재하고 싶어
난 여기에 있고 싶어
난 여기에 있어도 좋아
졸업축하연설 - 꿈을 좇지마라 (0) | 2018.05.18 |
---|---|
창업교육 (0) | 2017.09.04 |
나의 WHY, Who am I? (0) | 2017.01.30 |
에반게리온 (0) | 2017.01.08 |
MBTI: ENFP-T (2) | 2016.12.13 |
2017. 1. 30. 04:23 생각 기억 느낌/나 관찰일기
모아나의 주제는 그것이다. Who am I?
나는 누구인가?
나의 WHY를 찾아야 HOW, WHAT이 된다는 다른 골든서클 글과도 통한다.
미국에 전반적인 정서가 이건지도.
내가 생각하는 나는 호기심, 경험
아름다운 자연
미술과 과학 데이터
이정도의 키워드가 떠오른다. 가장 큰 비중은 물론 호기심
시나리오 써보기.
역시 나는 how, what이 아니라 why에 집중해야할 때다. 그리고 그 어느 것보다도 열과 성을 다해서.
창업교육 (0) | 2017.09.04 |
---|---|
이카리 신지 (0) | 2017.03.12 |
에반게리온 (0) | 2017.01.08 |
MBTI: ENFP-T (2) | 2016.12.13 |
우간다 여성들의 자립을 돕는 토끼 프로젝트 (0) | 2016.11.04 |
2017. 1. 8. 03:43 생각 기억 느낌/나 관찰일기
뭐, 머지않아
알게 되겠지
어른이 된다는 건
만남과 이별을 반복하면서
서로 상처 받지 않는 거리를
찾아내는 거라는 것을...
- 에반게리온 3화 [울리지 않는 전화]
이카리 신지 (0) | 2017.03.12 |
---|---|
나의 WHY, Who am I? (0) | 2017.01.30 |
MBTI: ENFP-T (2) | 2016.12.13 |
우간다 여성들의 자립을 돕는 토끼 프로젝트 (0) | 2016.11.04 |
남극가기 (0) | 2016.10.27 |
2016. 12. 13. 20:03 생각 기억 느낌/나 관찰일기
“당신이 생계를 위해 무슨 일을 하는지, 저는 관심 없습니다. 다만 제가 알고 싶은 건 당신이 가슴 저리게 동경하는 것이 있는지, 당신 마음속 깊은 바람을 감히 충족시키고자 하는 열망이 있는지입니다. 당신의 나이가 얼마인지는 중요하지 않습니다. 당신이 사랑을 위해, 당신의 꿈을 위해, 그리고 삶이라는 모험을 위해 기꺼이 바보가 될 준비가 되어 있는지, 그것이 궁금할 뿐입니다.”
사람마다 다르게 느끼겠지만.
나에게 있어서 저 문장은 진짜 ㅋㅋㅋ 사이다 같다. 완전히 나다. 그리고 그냥 너무 속시원하게 마음에 든다. 이러한 나같은 사람들이 세상에 더 존재하고 이런 문장을 남겨줬다는 것에 감사한다. 아름다운 세상.
1. Intro
ENFP형 사람은 자유로운 사고의 소유자입니다. 종종 분위기 메이커 역할을 하기도 하는 이들은 단순한 인생의 즐거움이나 그때그때 상황에서 주는 일시적인 만족이 아닌 타인과 사회적, 정서적으로 깊은 유대 관계를 맺음으로써 행복을 느낀다는 점에서 탐험가형 사람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매력적이며 독립적인 성격으로 활발하면서도 인정이 많은 이들은 인구의 대략 7%에 속하며, 어느 모임을 가든 어렵지 않게 만날 수 있습니다.
: 네 저는 분위기 메이커를 지향합니다. 가끔 너무 나대는거 같긴함.
나는 탐험가형인줄 알았는데 아닌가봄. 하긴 하와이 갔었을 때 모든 유대관계가 끊어지자 극히 외롭고 기운이 안났지.
다른 이들을 즐겁게 하는 사교적인 특성만이 이들이 가진 전부가 아닙니다. ENFP형 사람은 이들과 친척 격인 외교형 사람들처럼 그들 안에 내재한 직관적(N) 성향에서 기인한 호기심과 에너지로 인간관계에 있어 보이지 않는 선을 명확히 구분합니다. 이들은 또한 인생을 하나로 연결된 크고 복잡한 퍼즐로 보는 경향이 있는데, 인생을 체계적인 일련의 과정으로 보는 분석가형 사람과 달리 인간의 감정이나 인정(人情), 신비로움을 프리즘에 투영하여 그 안에 숨어있는 깊은 의미를 찾아내고자 합니다.
: 호기심과 에너지. 이 둘은 정말 나를 위한 단어다. 호기심때문에 죽을 수 있다는 말을 나는 이해함.
많은 유형의 사람들이 ENFP형 사람들에게서 그들만의 거부할 수 없는 매력을 느낄 것입니다. 일단 창의력에 발동이 걸리면 이들은 스포트라이트를 받는 주인공이 되어 동료나 사람들로부터 리더 혹은 전문가로 추앙받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는 독립적이며 자유를 으뜸으로 여기는 ENFP형 사람들이 선호하는 바는 아니며, 만일 반복적인 관리 업무를 요구하는 자리에 있는 경우라면 더욱이 그러합니다. 스스로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을 찾는 데서 큰 자부심을 얻는 ENFP형 사람에게 혁신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자유의지의 유무 여부가 매우 중요합니다. 만일 그들 자신이 지루한 일상적인 업무에 갇혀 있다고 생각될 경우, 이들은 쉬이 낙담하거나 인내심을 잃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 그러니까. 내말이. 반복적인 관리업무는 정말......휴........그냥 죽지못해 사는 거랑 같다. 그냥 링겔꽂은 식물인간같아. 내가 그 업무를 하는 동안 느끼는 감정이 그렇다는 말이다. 그래서 공무원이나 의사 준비하는 내내 죽을 맛이었어. 내 관을 내가 짜는 기분이었다고.
다행히도 ENFP형 사람은 언제 어떻게 휴식을 취해야 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일할 때는 열정적이며 진취적인 모습이었다가 단숨에 무대 위 열성적으로 몸을 흔드는 자유로운 영혼의 모습으로 단숨에 변모하기도 하는 이들은 이러한 갑작스러운 변화로 종종 가까이에 있는 친구들이나 지인들을 놀라게 하기도 합니다. 이들의 다양한 성격적 면모는 다른 이들과의 정서적인 교감을 가능하게 하며, 특히나 친구 혹은 동료들에게 색다른 통찰력을 제공함으로써 영감을 불어 넣기도 합니다. ENFP형 사람은 모든 이들이 자신의 솔직한 감정에 귀 기울이고 이를 표현할 수 있는 시간이 필요하다고 믿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다양한 인간 감정이나 인간관계에 대한 내용이 이들과 대화 시 단골 소재입니다.
: 이거도 정말 맞네. 인간에 대한 고찰 빼고는 대화가 뭐가 재미있담?! 그리고 외국 나가서도 외국애들이 나 생긴거는 전형적인 얌전하고 공부잘하는 한국인인데 놀고 사고치고 모험하는거 보면 진짜 의외라고 했었지. 흠흠. 나는 이런 내 모습이 참 좋음.
하지만 이런 ENFP형 사람들에게도 주의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만일 이들이 그들의 직관에 지나치게 의존한 나머지 사람들의 의도를 확대해석하는 경우 오해가 생겨 계획에 차질을 빚을 수 있는데, 이는 단도직입적으로 충분히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더 어렵게 만드는 길입니다. 이러한 사회생활에서 빚어지는 스트레스는 협력과 조화를 중요시하는 외교형 사람들 잠을 설치게 하는 근심 요소이기도 합니다. 이들은 혹 실수로 누군가의 발을 밟았다 할 경우, 이들 역시 발을 밟힌 사람과 같은 고통을 느끼는 감성적이면서도 예민한 성격의 소유자입니다.
ENFP형 사람은 인간관계와 관련한 사람의 감정이나 생각과 관련하여 그들이 원하는 만족스러운 대답을 찾을 때까지 끊임없이 찾아 헤매고 다닐 것입니다. 그리고 진정 그들이 원하는 답을 찾는 그 날, 그들의 상상력이나 인간애, 그리고 용기는 어마어마한 빛을 발할 것입니다.
: 아 진짜.......어떻게 찾는진 안 가르쳐주는겨?????? 레알 본투비 방랑자네..
ENFP형에 속하는 유명인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윌 스미스
로빈 윌리엄스
드류 배리모어
켈리 클락슨
나머지는 내가 모름
-----------------------------------------------------------------------------
예전에 고등학생땐 ENTP가 많이 나왔는데 대학교 졸업쯤에 다시 해본 뒤론 계속 ENFP가 나온다.
아마 내가 억지로 논리적 인간이 되려고 하다가 본성을 찾았기 때문인듯.
오랜만에 해봤는데 역시 같게 나와서 한편으론 다행이다 싶다.
아무리 방랑자고 고독하고 밥벌이 안되는 길이라해도 나는 이런 내 스스로가 너무 맘에 드니까.
영원히 탐구하고 호기심을 잃지 않고 살아가고 싶다는게 내 소망이니까.
2. STRENGTHS AND WEAKNESSES
When it comes to relationships, there’s hardly anyone around who is more excited than Campaigners to share with their partners the bounty of ideas and eye-opening experiences that life has to offer. For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relationships are a joyous process of mutual exploration and imagination, a chance to connect with another soul. Campaigners take their relationships seriously, and are known for their uninhibited and unshakeable devotion to the people to whom they’ve committed their hearts.
In the dating phase, if Campaigners can be said to tolerate such a formal process to begin with, they will show these qualities by showering their new flames with affection, and will do everything they can to build a strong relationship by demonstrating their devotion and reliability by whatever means available.
Long-distance relationships are quite common among Campaigners, as they view physical distance as just another idea, no match for concepts like love. This gives them the chance to demonstrate their commitment, both by staying true despite the physical separation, and with overtures of effort to surprise their partners, crossing that distance on a whim. These are demonstrations of Campaigners’ mystery, idealism and deep emotion, and such efforts often keep the flames of a relationship burning bright.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express these ideals sexually as well, exploring the physical with imagination and passion, viewing these times together as a chance to let their feelings for each other shine, sharing their love and affection. Campaigners will willingly experiment with their partners, even early in a relationship, but they can also be oddly perfectionistic, believing that these physical acts are a representation of their deeper love, and as such should not be performed carelessly. This perfectionism is also a reflection of their sensitivity, their desire to not disappoint, and Campaigners appreciate a well-placed compliment.
Not everyone can handle the excitement, occasional neediness, and emotional ups and downs that this philosophy entails, whether long-distance or long-term, mystical or physical. Campaigners constantly explore new ideas and improvements, fantasize about future possibilities – in dating, this tendency to look at potential rather than the present can be self-defeating, and their spontaneity makes it harder to stay focused on their end goal of a long-term relationship. If their partners aren’t able to reciprocate these acts of excitement and devotion, Campaigners will likely end up feeling unhappy and misunderstood.
Campaigners go all-in with their relationships, and if they fall apart despite their efforts, they can end up plagued with questions about why the relationship failed and what they could have done differently – without a buoy, these thoughts can crush Campaigners’ self-esteem as they sink into depression. It’s important for Campaigner personalities, as with anyone, to remember that relationships are in all ways mutual – mutual interest, mutual growth, and mutual responsibility – and they can’t be solely accountable.
After a trial like this, Campaigners may be reluctant to open up and commit, and it can take years for a partner to navigate their bewildering depth and intensity, falsely believing that Campaigners’ enthusiasm and apparent openness means that they wear everything on their sleeves. The reality is that Campaigners’ spontaneity, the seeming inconsistency and erraticism the untrained eye sees, isn’t a product of flightiness or lack of depth, but the opposite – it is a drive to express ideas about a mystical, all-encompassing energy, in the confines of a physical world, and underlying it all is the uniting principle of love, expressed in many different ways, but unshakeable and infinite at its core.
As friends, Campaigners are cheerful and supportive, always sharing and developing ideas, and staying open-minded, taking in others’ thoughts and feelings. This warmth and sincerity makes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masters of drawing people out of their shells, and as a result they tend to have a huge circle of friends.
More outgoing types will naturally gravitate towards them, but Campaigners will also go to great lengths and be surprisingly persistent in their efforts to get to know more reserved personalities. Their ability to tune into others and speak their language with that characteristic infectious enthusiasm helps them in this endeavor, and the allure of mystery that reserved types, especially Introverted Intuitives, bring to the table will keep Campaigners intrigued for years. These personality types may never be able to reciprocate the breadth of human interest that Campaigners present, but they do appreciate Campaigners’ efforts.
But Campaigners’ interest in others can be a double-edged sword – this pure idealism comes with certain expectations, and too often Campaigners hold their friends in an unrealistic light, expecting them to keep up with the constant flow of ideas and experiences that they consider integral to life. Campaigners put their whole hearts into their friendships, and it can come as a shock for them to find that their friends aren’t the flawless Titans that they believed them to be. Whether it’s simple social fatigue or a focus on the physical and the practical instead of the mystical,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can find themselves disappointed by what they see as a lack of substance beneath the surface.
Campaigners tend to get deeply involved in others’ lives, going to great lengths and efforts to be the selfless, caring and supportive people they are, and all the while forget to take care of themselves. Both in terms of basic needs like financial stability and rest, as well as more emotional needs like mutual understanding and reciprocation, Campaigner personalities tend to give much more of themselves than most are even capable of giving back. This sort of imbalance isn’t sustainable, as (seemingly) one-sided generosity often leads to criticism and resentment on both sides.
Luckily, Campaigners are open-minded and sincere enough in their friendships, and connect with and understand even their acquaintances well enough, that they recognize that not everyone expresses themselves in the same ways, and that that’s okay. Their sensitivity may make it too challenging to play with more critical and argumentative personalities, such as strongly expressed Thinking (T) and Judging (J) types, but they do appreciate, even cherish, the company of most anyone who appreciates theirs, and the adventures and experiences they have together are the stuff a good life is made of.
If there is anything that makes Campaigners great parents, it’s the sense of wonder they have for all things new and beautiful, a sense that they will be able to share with their children every day as they learn and grow. Throughout their children’s lives, Campaigners provide a combination of almost overwhelming love and support, and an unstructured environment revolving around freedom and creativity. This in no way means that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will simply leave their children to their own devices without guidance – rather, Campaigner parents want to share in their children’s perspective, share in a world without bounds.
Campaigner parents are playful and warm, and love to see their children excited, playing in and experimenting with the world around them. It is likely that Campaigner parents will encourage this play and growth by suggesting activities and lessons.Campaigners will embrace and encourage productive interests as they arise, sweeping away dolls and dinosaurs when interests shift to the oceans, and sweeping away the fish when tastes change again, to the stars.
While they often enough recognize the value of structure and predictability, Campaigner parents are unlikely to have the heart (or as they may see it, the lack of heart) to establish these limitations themselves. They may need to depend on their partners to provide some necessary guidelines and discipline from time to time, but Campaigner parents will always have the advantage of their open-minded and empathetic nature, making them not just parents, but friends who their children feel comfortable confiding in. They needn’t always depend on their children broaching the subject either, as Campaigners have a natural skill in spotting emotional disharmony or physical discomfort in others.
As their children approach the teenage years, all this emotion and attention can start to cloy, and their children may seek a more private independence. This can be a challenge for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 they have strong emotions, and invest those emotions heavily in the things and people they care about. While they may not be big on using proven ideas, Campaigners do like to see whether or not their ideas work, and this applies to their thoughts on parenting, too. As their adolescent children withdraw, they leave an unsolved mystery that can last for years, leaving their Campaigner parents wondering if their ideas on raising their children actually work, actually result in happy, independent and creative adults.
Luckily for them, so long as they raise their children with a sense of productive independence, rather than an aimless, against-the-grain antipathy, Campaigners will find that their children have developed a strong sense of self and self-worth, going confidently out into the big, wide world at their own pace and in their own style, knowing that they have both themselves and their Campaigner parents to depend on.
“Can’t I fly helicopters AND be an oceanographer who writes songs and cooks?” It’s a big world out there – perhaps even a little too big. Campaigners are fascinated by new ideas, both in terms of developments in fields they are already familiar with, and when new subjects come along. The trick for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is to take advantage of this quality, this wonder with the magnificent breadth and detail in the world, and to use it to propel themselves further and deeper than others are willing or able to go.
Chief among Campaigners’ talents is their people skills, a quality that is even more valuable now than ever. Even in traditional Analyst strongholds like engineering, systems analysis and the sciences, Campaigners’ ability to network and match the communication styles of their audience means that even as they explore new challenges on their own, they will be able to work with others, explore others’ perspectives and glean new insights into their projects. Much of modern progress stems from incorporating other studies into typically disassociated fields, and no one is better equipped to merge broad interests than talented, energetic and future-minded Campaigners.
And while Thinking types may be better at applying logic to systems and machines,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are able to apply that same logic to human interactions and networks, using their exceptional social perception to find out what makes people tick. This lends Campaigners a solid foothold in any human science or service, from psychology, counseling and teaching to politics, diplomacy and detective work. All of these fields have another important similarity: they are in constant development, shifting, presenting new angles and new approaches. It’s simply not possible to be good in these fields and content with the way things are, and this is where Campaigners truly shine.
Where Campaigners do not shine is in systems of strict regimentation and hierarchy, such as military service. Campaigners thrive on the ability to question the status quo and explore the alternatives, and if this is a quality that is not just unappreciated but actually frowned upon, this will not only make them unhappy, but it may even threaten their emotional stability. Repetition, predictability, boredom… while some Sentinel types may appreciate predictability and clear hierarchies, these are not selling points for Campaigners.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need to feel like they’re pushing boundaries and exploring ideas, and should focus on interests and careers that encourage that.
Many more career options satisfy these needs, and not just the scientific ones – writing, journalism, acting and TV reporting all give Campaigners a chance to explore something new every day and stir the pot a little while they’re at it. It may come to pass though, that the best way forward for Campaigner personalities is to establish themselves as entrepreneurs and consultants, blazing their own trails and taking on whatever project is most fascinating. So long as they get to use their people skills, identify and achieve their own goals and inspire their colleagues and followers, Campaigners will be happy.
There are two basic things that Campaigners seek most in the workplace: The chance to explore new ideas, and the chance to conduct that exploration alongside other people who share their excitement. These qualities show through at all levels of hierarchy, though much like other Diplomat personality types, Campaigners would prefer that there be hardly a hierarchy at all.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possess warmth, creativity, and an open-mindedness that makes them excellent listeners. If these qualities are recognized by their employers, they will always be able to count on their Campaigner employees to innovate and boost morale.
Campaigners are growth-oriented, and as subordinates they’ll impress their managers with their creativity and adaptability.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are excellent listeners, able to analyze and understand others’ perspectives effortlessly. It’s perhaps this quality that most makes Campaigners intolerant of micromanagement – the way they see it, they understand what’s been asked of them, and all they require is the freedom to accomplish their task. If this need isn’t met, managers may find a quickly stressed Campaigner subordinate.
To a certain extent though, some direct management is often necessary, as Campaigners are notorious for letting their attention slip from one project to the next before they’ve dotted their I’s and crossed their T’s. Campaigners love exploring new ideas and learning new things, and once something becomes familiar, its allure starts to fade. But, if managers are able to maintain a spirit of guidance and camaraderie instead of "bossiness", they will find loyal and devoted contributors in their Campaigner subordinates.
Campaigners are people-people, and as far as the workplace is concerned, this quality shows through best among colleagues. More than just coworkers, Campaigners view their colleagues as friends, people who they take a genuine interest in, providing support and cheer when they’re down or stressed. People with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are warm and optimistic, always searching for and usually finding win-win situations for everyone.
Brainstorms among equals are Campaigners’ forte, and they listen to different viewpoints and suggestions not just with tolerance, but genuine excitement. Their ability to relax and have fun will always make them popular around the water cooler, but what sets Campaigners apart is that they can transition that popularity into natural leadership, instinctively picking up on colleagues’ motivations and pulling their teams together, pushing them forward towards whatever truth they’ve been tasked to find.
Campaigners are not great fans of heavy hierarchy and bureaucracy, and this is most evident when they take on the role of manager. As managers, Campaigner personalities behave much like they do as colleagues – they establish real friendships, and use their broad popularity to inspire and motivate, taking on the role of leader, working alongside their subordinates, rather than shouting from behind their desks. Campaigners will tend to believe in the concept of intrinsic motivation, the idea that things are worth doing for their own sake, not because of some convoluted system of punishments and rewards.
Unfortunately, not everyone buys into this philosophy – challenges arise when faced with subordinates who actually prefer to be closely directed, with clearly defined objectives and timetables, people who are just doing their jobs. More challenging still are those rare moments when a reprimand is simply necessary – while Campaigners prefer to meet dissent with an open ear, and to use their excellent capacity for sensing mood and morale to preempt such an act to begin with, sometimes the carrot and the stick are necessary, and using them is the biggest challenge for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But Campaigners’ capacity for adjusting their communication to most any style will always shine through, helping to smooth things over and adapt to the needs of their team.
Few personality types are as creative and charismatic as Campaigners. Known for their idealism and enthusiasm, Campaigners are good at dealing with unexpected challenges and brightening the lives of those around them. Campaigners’ imagination is invaluable in many areas, including their own personal growth.
Yet Campaigners can be easily tripped up in areas where idealism and kindness are more of a liability than an asset. Whether it is finding (or keeping) a partner, staying calm under pressure, reaching dazzling heights on the career ladder or making difficult decisions, Campaigners need to put in a conscious effort to develop their weaker traits and additional skills.
What you have read so far is just an introduction into the complex concept that is the Campaigner personality type. You may have muttered to yourself, “wow, this is so accurate it’s a little creepy” or “finally, someone understands me!” You may have even asked “how do they know more about me than the people I’m closest to?”
This is not a trick. You felt understood because you were. We’ve studied how Campaigners think and what they need to reach their full potential. And no, we did not spy on you – many of the challenges you’ve faced and will face in the future have been overcome by other Campaigners. You simply need to learn how they succeeded.
But in order to do that, you need to have a plan, a personal roadmap. The best car in the world will not take you to the right place if you do not know where you want to go. We have told you how Campaigners tend to behave in certain circumstances and what their key strengths and weaknesses are. Now we need to go much deeper into your personality type and answer “why?”, “how?” and “what if?”
This knowledge is only the beginning of a lifelong journey. Are you ready to learn why Campaigners act in the way they do? What motivates and inspires you? What you are afraid of and what you secretly dream about? How you can unlock your true, exceptional potential?
Our premium profiles provide a roadmap towards a happier, more successful, and more versatile YOU! They are not for everyone though – you need to be willing and able to challenge yourself, to go beyond the obvious, to imagine and follow your own path instead of just going with the flow. If you want to take the reins into your own hands, we are here to help you.
나의 WHY, Who am I? (0) | 2017.01.30 |
---|---|
에반게리온 (0) | 2017.01.08 |
우간다 여성들의 자립을 돕는 토끼 프로젝트 (0) | 2016.11.04 |
남극가기 (0) | 2016.10.27 |
아무것도 (0) | 2016.09.21 |
2016. 11. 4. 19:28 생각 기억 느낌/나 관찰일기
2016. 10. 27. 17:28 생각 기억 느낌/나 관찰일기
MBTI: ENFP-T (2) | 2016.12.13 |
---|---|
우간다 여성들의 자립을 돕는 토끼 프로젝트 (0) | 2016.11.04 |
아무것도 (0) | 2016.09.21 |
인생의 화두 (0) | 2016.09.06 |
소외감과 동질감 (0) | 2016.07.26 |
2016. 9. 21. 09:09 생각 기억 느낌/나 관찰일기
하기 싫다
아침에 눈을 뜨고 어디로 가야하는 것도
돈을 벌어야 하는 몸뚱아리인 것도
경력을 쌓아야 한다는 것도
왜 사니? 하고 엄마는 묻겠지
엄마는 죄의식을 심어주는 타입이니까
근데 사람이 왜 사는지 아는 사람이 있을까
낳아줬으니까 사는거 아냐!
라고 빽 소리를 지르고 싶지만 달라질것도 없다.
사실이 그렇다
대강 살더라도
살아있는 이상 몸을 계속 움직이지 않을 수가 없는 것이다. 이게 삶의 굴레인 것같다.
개다가 백수노릇 해보았는데 금수저 아닌 이상 하고싶은거 다 하면서 놀수는 없고
딱히 할 수 있는 것도 없어 아침에 느지막히 눈을 뜨면 세상은 이미 너무도 밝고 나는 썩은 통나무처럼 누워있다.
그 기분이 기실 좋진 않은 터라 백수 컴백이 반가우면서도 꺼려지는 것이다.
아이러니 한 일이다.
아침에 갈 곳이 필요한 동시에
오늘 내일은 늦게 일어나도 되고 싶다
대학생은 이런 뜻에서 너무도 좋았는데!
수업이라는 것은 요일마다 다른 시간에 있었으니까.
그리고 나는 오전 수업은 다 뺐으니까 ㅎㅎ
대학생의 그 삶, 책임진 것 없는 삶으로 돌아가고 샆은 마음에 대학원을 동경하는 것도 마음 속에 있는 것을 안다. 대학원 현실은 그것보다는 무급 회사에 가깝다는 것도 알긴한다만.
인생에 의미를 남기고 싶었다면 결국 매일 매일 너무 귀찮아도 몸을 일으켜 세워야하는 것이다.
그렇다 귀찮다.
몸이 불편하고 무겁고 피곤하고 영 내키지가 않은 아침 아침 아침
게다가 오늘 아침엔 아이슬란드 같은 곳에 단체로 여행을 가서 돌아오는 비행기를 늦출까 하는 꿈을 꾸었다
여행도
귀찮아서 뒤로 미루면
못하는 거잖아
결국 내 삶은 귀찮아서 못하고 있는 하고 싶은 모든 것들로 채워지는 거다
사실 이번 회사는 종교적인 거부감 빼고는 이전 회사들과 비교해 모자란 점이 없었다. 배려심 넘치고.
그래서 이런 곳에서도 내가 일어나기 싫은 것을 보며
결국 나의 문제란 내 몸과 정신을 컨트롤 못하는 문제임을 자각할 수 있었다.
이런 나라면 사실 아무것도 할 수 없는 것이다.
2016. 9. 6. 13:49 생각 기억 느낌/나 관찰일기
사람에 대해 엄청나게 많이 생각하는 주제에
그게 현실화 되서 사람간의 갈등 조율로 이어지면 가장 큰 스트레스를 받아 피해버린다
순수과학과 예술은 도피처로서 안성맞춤이었다
하지만 나의 관심사는 걷잡을 수 없이 사람에 대한 것
그걸 깨닫고 인정하는데 꽤 오래걸렸고 아직도 종종 스스로 부정하고 있다
나는 그저 자연이 좋다고 사람사는 곳이 싫다고.
이런 나에게 있어 인생의 화두랄 것은
즐거움/재미있음
다양함
아름다움
이 세가지이다
이 세가지를 좀 더 세분화해보면
아이디어 제공과 참여에 대한 즐거움/배움에 대한 즐거움
모든 minor들이 인정받고 공존할 수 있는 다양성을 지닌 사회 추구
선과 형, 색이 만들어내는 아름다움이다
마지막 아름다움의 경우는 주로 자연물(인체 포함)에 관한 것
이 세가지가 변한 적은 없는 듯 하다
이 것들은 내 삶을 관통하는 주제이다
호기심과 미지의 세계에 대한 동경도 있지만 그건 여기선 논외
아름다움 추구는 만화와 애니메이션 자연 탐구로 나아가는 길을 제공했고 즐거움과 재미는 가속하는데 연료로 쓰였다
다양성에 대해선 자주 생각하지만 눈을 감고 있었는데 그럼에도 내가 생태학에서 가장 맘에 든 키워드는 생물다양성 보존이었다. UN산하 생물다양성 기구인 IUCN의 job position 이메일을 여전히 포워드 받고 있을 정도로.
하와이도 고유 생물종이 많은 다양한 생태계를 지닌곳이라 좋았고 (물론 노는게 재밌어 보여서랑 아름답고 따뜻해서가 컸음...)
졸업 후에 다양한 ngo 사회적기업 영리기업 투자자들을 보면서 한 국가 또는 사회가 건강한 생태계로서 기능하려면 장기적으로는 다양성이 전제되어야 함을 믿고 또 계속 생각해왔다
또 성소수자 문제가 주변에서 불거지고 있다
앞으로 더 많겠지, 왜냐면 세계적으로 그들의 목소리가 커지는 추세니까.
오히려 그 문제는 별개 아니게 될 정도로 정말 생또라이같은 목소리들이 점차 생겨날 것이다. 복제인간이라던가 사이보그라던가 하는 것도 아마 일상이 될거라고 생각. 그 모두가 자신의 권리를 외치는 미래에는 단일화나 선긋기가 지금보다 줄어들길 바란다.
여러 단일화와 다양성 간의 충돌 문제에서 느끼게 되는 것은 그게 어떠한 카테고리 (성정체성, 종교, 정치성향, 성격, 연령, 소득, 인종...등등) 에서 일어나는지와 상관없이 같은 패턴이고 또 계속 일어날 수 밖에 없는 속성을 지녔다는 것이다.
풀어쓰자면,
사람은 서로 남의 험담을 할때 가장 친밀감을 느낀다는 것을 배웠을 때 결국 메이저는 마이너들을 부정함으로서 뭉치고 마이너들을 각각 전부 옹호하는 자는 지지세력을 얻는것이 불가능할만큼 어려울 것임을 느꼈다. 기독교인한테 성소수자를 옹호하고 성소수자에게 기독교인을 옹호하면 두 편을 다 잃는단 것이다. 반대로 양쪽을 내편으로 하려면 양쪽에서 쌍방 비방을 하면 더 쉽단 말이다.
너무 당연한 인간 속성이지만 그렇기에 마이너들이 각각 인정받는것이 더욱 어렵다. 특히 그걸 이용해서 메이저를 공고히하려는 움직임이 있을 경우.
둘째로 사람은 자기 문제가 아니면 돈과 시간, 즉 생물학에서 나오는 생명에너지 vitality를 쓰지 않는다. 지극히 생물적인 속성이다. 그외에 것에 자신의 힘을 쓰는 생물은 단명하거나 번영하기 힘들테니까. 그렇기에 지금 사회에서도 마이너들은 본인들이 소수이면서 타 마이너들과 협동하지 못한다. 애초에 속한 카테고리도 너무나 다르니 말이다.
예를 들면 미국에서 흑인인 게이 남성이 경찰 총격에 사망한 사건에 흑인커뮤니티와 게이커뮤니티 모두가 분노할 수 있지만 그것이 흑인 모두가 게이를 인정하고 게이 전부가 흑인을 피부색과 관계없이 존중한다는 것은 아니란 말이다.
결국 마이너들이 항상 약자로 존재할 수 밖에 없는 것은 그들이 목소리를 내기에는 너무 뿔뿔히 흩어져있는 것도 한 이유가 될 것이다.
사람이란게 각각 한명 한명이 다른 가치관과 환경 속성을 갖고 태어나기 때문에 그런 것이다.
그래서 서로 각자가 맞다고 생각하는 것이 달라서
그걸 서로 인정하지 못해서 그런것이다.
획일화하고 정답을 만들고 단일화하면 편하다.
이런 복잡한 문제 조율은 필요없다.
하지만 보았듯이
사람은 서로 각자가 완전히 다른 생각을 가진 생물이다.
신체적으로도 서로 다르고
선호도나 가치관 인생경험 모두가 다를수 밖에 없다.
그게 생물이니까.
유전자는 다양성을 지니도록 진화했고 그것이 우리 생물이 이렇게 번창하여 지구를 뒤덮게된 원천 속성이다.
결국 다양성 속에서 새로운 기회와
변화하는 미래 환경에의 적응과
위기에 대처하는 능력이 나오는 것이니까.
그러므로 인간의 기본 속성이 다양성임을 깨닫는 다면 획일화나 단일화가 처음에 퍼뜨리거나 적용하기는 쉽더라도 각 구성원들이 각기 맞는 역할을 하는데에 있어, 더 정확히는 행복을 찾을 수 있도록 하는데 있어 문제만 야기할 것임을 알 수 있다.
애초에 획일화는 지속가능하지 않은 시스템임을.
만약 근 미래에 현재의 소수자 문제들 (장애우, 양성평등, 인종차별, 종교분쟁, 성소수자인정, 빈익빈부익부 등등) 이 모--두 해결된다해도
인간은 새로운 다양성문제를 만들어 낼 것임을 최근에 깨달았다.
근본적으로 나와 같은 사람은 없고 각 사람은 자신의 삶의 목소리를 최대화하려고 하는 속성을 지녔으니까.
결국 서로의 목소리는 충돌할 수밖에 없다.
그것이 미래에는 아주 기괴한 것들로 발전할지라도 인간이라는 집단에 있어 100% 다양성 인정 문화란 불가능하지 않나 싶다. 팔은 안으로 굽고 피는 물보다 진하다는 것은 사실이니까. 그걸 억지로 사회틀로 펴서 겉으로만도 서로 티내지 않고 동등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기만 해도 나는 여한이 없을 듯.
아마 이것이 한국의 획일화된 가정에서 나고 자란 내가 꿈꾸는 이상적인 미래같다.
네덜란드와 미국에 한번 가봐야 겠다.
Copyright © The deeper, the further. All Rights Reserved. | Designed by CMSFactory.NET
Recent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