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eative Writing: The Craft of Plot 02

서사 구조


1. 아리스토텔레스 3단구조


처음 - 캐릭터 및 관계도 제시, 등장인물의 욕망/원하는 것 제시

중간 - 클라이맥스까지 연결됨

끝 - 결말부분


2. 호레이스 5단 구조


3. 엠마 모트 와 앨리스 애덤스의 5단 구조


A -  Action: specific, concrete 한 내용으로 관객 몰입을 시킴, 주인공이 '생각'하거나 수동적으로 움직이는 것은 액션이 아니다. 스스로 움직이는 것, Physically doing sth.

B - Background: 스토리가 일어나기 전에 있었던 일들 제시, 이를 통해 독자는 등장인물들이 앞으로 하는 행동에 대한 성격을 이해한다 = 행동의 원인이 되어줌

D - Development: 실제 이야기의 핵심, rising action, 그들이 원하는 것을 이루기 위한 여정에서 나타나는 장애물들에 실패하는지 또는 성공하는지에 따라 캐릭터 developing과 반응이 나타남, 주연이 원하는 것과 그것을 방해하는 장애를 다 보여줘야 함.

C - Climax: Biggest rising action, key narrative twist happens, 클라이맥스, 가장 중심 사건이 일어남, 여기서 일어나는 갈등으로 말미암아 주인공 캐릭터는 (내적으로) 크게 변화한다. 

E - Ending: 등장인물들이 여정을 통해 변화하는 결론이 나타나는 곳


각 파트별 길이는 자유, 보통 엔딩은 짧음

좋은 이야기는 원형구조거나 나선형

즉, 처음으로 돌아오되 약간 바뀌어있음

= 주연이 처음 원하던 걸 얻지 못했거나, 또는 얻었어도 예상치 못한 결과를 낳게 됨



<과제>

Instructions

Write a very short story - not more than 200 words - about a trip to the doctor or dentist using the ABDCE structure. Identify the structural elements in your story. My example is in the assignment introduction video, and reproduced below:


One night when I was eight years old I opened a bag of Doritos to eat while watching television. (A) Doritos were my favorite snack to eat as a child. Nacho Cheese was my favorite flavor. (B) I loved sitting in the dark hearing the “crunch, crunch, crunch” of the chips. I’d sit there, crunching my chips, but didn’t eat the chips with a napkin (what kid does?) and would forget about the powder that accumulated on my fingertips. As it got later and I got sleepier, I kept rubbing my eyes, my fingertips covered in Doritos Nacho Cheese powder. (D) When it was time for bed, I went to brush my teeth, looked in the mirror, and saw two large bags under my eyes. The Doritos Nacho Cheese powder had pooled into two large sacks underneath my eyeballs. I started screaming and crying. (C) The next day, my grandmother took me to the doctor who put industrial strength eye drops into my eyes to flush out the powder. (E)


Remember, the action in this story isn’t the actual doctor’s office visit. The action is what LEADS you to the doctor’s office.



:

(A) One day, Jared, the novelist, decided to write about superhero who has absolutely boring job. 

(B) Jared was never popular writer. His novel was too abstract so far. His budget had been empty. The book company suggested him to write hero novel. Still he wanted to write something paradoxical so thought about boring hero novel.

(D) Jared contacted to all of his friends to get connected to dentist. He thought the most paradoxical hero's job must be dentist in small peaceful town. One of his friends gave him a chance to interview with his dentist. Her name is Kate. Kate likes to have new experiences and for her get a close interview with writer is exciting! Jared asked to stay in her hospital for a week to observe daily work. 

(C) During the week, Jared concentrated to Kate's daily life and found that she is cute. Now he wanted to asking her a date more than write about stupid hero.

(E) End of the week, Jared suggest to drink a beer together as appreciating for her. Kate said yes and after one or two bottles of beer Jared said to her that he wants to meet her in next week too. 



우간다 여성들의 자립을 돕는 토끼 프로젝트

https://www.thebridgetogether.com/Project/Details/3051

나의 여름-가을에 의미를 준 프로젝트가 드디어 세상에 나왔다. ㅎㅎㅎ



우간다에 일어난 내전으로 인해 강간당하고 공동체에서 터부시된 여성들이 홀로 서기 위해서 토끼를 길러 파는 이야기. 

이들이 스스로 생활비를 벌고 전쟁에 의해서 갖게된 아이들을 키우는 데 필요한 비용을 충당할 수 있는 경제적 자립을 이뤄내기 위해서 해결책을 찾은 사회적 기업 이야기. 


이 사회적 기업 자체가 20대 여성 사업가인 현지인 Aleng의 이야기. 
고등학교 졸업 후 토끼 사육법부터 투자금 유치, 기업 운영 등 자신이 느낀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스로 배우고 움직인 멋진 여성이다.


부디 앞으로도 잘 헤쳐나가기를! 항상 응원한다. 
어서 기부해야지!!!


'생각 기억 느낌 > 나 관찰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보다 어린 친구들  (0) 2016.11.16
투쟁  (0) 2016.11.10
남극가기  (0) 2016.10.27
아무것도  (0) 2016.09.21
인생의 화두  (0) 2016.09.06

Script Writing: Write a Pilot Episode for a TV or Web Series 01

#01 Developing Idea

1주차 과정에서 peer review guideline.


  1. Is the concept original? Does this seem unique?
  2. Is there enough of a story to fill an entire season?
  3. Does the writer seem enthusiastic?
  4. Is there an audience for this series?
  5. Did the pitch inspire you to want to see the series?


실제로 혼자 스토리를 짤 때 자문하면 좋은 질문들 같음.


이 과정은 내가 같이 시작한 플롯수업, 코믹북 수업과는 달리 처음부터 쓰기에 달려들어보라고 요구한다.


강의하시는 분이 매우 여성스러운 어투의 남성분인데 진짜 뭔가 예술가의 전형적인 패러디 형상화가 실현된 사람 같아서 영어듣는데 너무 웃음이 나왔다.



뭐랄까. "저는~ 여러분이 직접 쓰는데서 배운다고 생각해요오~" 이런 느낌


약 1달 과정의 스토리텔링 수업 3가지가 전부 다른 느낌이라서 좋다.


플롯수업은 그야말로 이론수업

코믹북 수업은 이 시대에 활동하는 작가랑 산업, 트렌드 전부를 보여주고 실습도 하는 전체적인 구조, 

마지막으로 이 수업은 그야말로 실습위주다 ㅋㅋ


혼자서 예술대학교 커리큘럼 짠 느낌이라서 재미나다. 요즘 세상이 참 좋아진듯.


물론 이 과정 전부 무료!





1주차 과제 : 자신만의 1문단 이야기 쓰기



Around The World In Male Attire


In 19th century, because of the transportation development, people in Europe get interested in new worlds and lives of other continents. There was a young woman who is not noble, but having curiosity of other countries so read lots of books and dream to go there somewhere. Oneday a stupid but rich noble in her town announced that he will go grand-journey around the world and need one servant man to go with him. The brave lady noticed that this might the only chance for her - humble 'female' commoner - to travel other continents. She dressed like a man and got hired! The journey will be started from London. This is hommage to "Around The World In 80 Days" so the route would be similar, however, the main point is how a main character achieve her dream and interact with people she met during the journey. 





나는 아무래도 여행이나 다른나라/세상, 역사, 문화적 배경 그런게 좋으니까 주인공도 여행가는게 좋다.

세계여행 말고도 우주여행도 좋고 시간여행도 좋다. 뭔가 시공간적 변화를 주는게 무진장 좋다.






#02 Building Characters


1. 내가 아는, 들어본 적있는, 경험해 본 주변 인물들을 쓰길 추천

2. 이미 영화나 TV에 나온적 있는 캐릭터는 지양할 것


1. 은 내 친척할아버지를 그대로 쓰라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의 말투, 걱정거리, 습관과 같은 것들, 즉 특성을 모티프로 따오라는 의미



주연 캐릭터 뿐 아니라 시리즈 전체에 걸쳐 나오는 '모든' 캐릭터 '각각'을 다 짜놔야 합니다.

You have to pay attention to every single character in your story








#03 Creating Your Series Bible



당신이 쓰고자 하는 스토리의 시즌 1의 에피소드 1을 쓰는 것이 강좌의 목표이다.


첫 단계이지만 스토리가 어떻게 시작할지, 어디로 흘러갈지, 어떤 인물들이 언제, 어떻게 등장할지, 이야기에 어떻게 기여할지 등 전부를 생각해두어야 한다.





중요한 점은 매 에피소드가 스토리를 앞으로 끌고 나가야 한다는 것이다. 그것이 이야기가 지속되기 위한 핵심이다.



매화가 상황극처럼 벌어지는 코미디와 달리


매 에피소드가 다음 화에 벌어질 일에 영향을 미치는 선형 구조를 쓸 것이다.

(바라던 바다)



전 화에서 일어난 모든 사건들은 앞으로 벌어질 일들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요소가 된다.

이러한 구조가 대부분의 드라마 시리즈에서 택하는 스토리 구조이다.




어떤 드라마는 연속적인 스토리와 단막극 식 상황극이 섞여있기도 하다.





자신만의 스토리 바이블을 짜자.


완벽한 바이블은 스크립트 초안이 나온 뒤에야 나올 수 있긴 하지만 처음에 컨셉들을 발전시키고 홍보하기 위해서 이러한 시도는 중요하다.



2-3 장 정도의 바이블을 짜보자.

일어서자 걷자 숨쉬자 눈 뜨자 by 테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