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11. 16. 23:27 學問如逆水行舟/가치투자
환경과 생물을 전공했다.
환경학이 화두가 된 21세기, 그 시작점이 무엇인가.
자연파괴를 염두에 두지 않은 과도한 개발과 성장에만 초점을 둔 자본주의라 할 수 있겠다.
그렇기에 거의 모든 환경관련 수업은 '지속가능성'에 중점을 두었더라.
한 동안 잊고있던 이 단어를
주식 투자에서 들을 줄 몰랐다.
'그 수익은 지속가능한가?'
지속가능한가?
그 사업은 지속가능한가? 그 우위성은 지속가능한가? 그들의 시장점유율은 지속가능한가?
그 자원을 지속가능하게 가져올 수 있는가? 우리의 생활수준은 지속가능할 수 있는가? 인류 문명은 지속가능할 수 있는가? 인간은 지구에서 지속가능하게 번영할 수 있는가?
우리가 사는 것은 현재 시점이다.
그러나 아무도 그 끝이 보이는 곳에 자신의 발을 얹지 않는다.
일시적인 레버리지 효과, 일시적인 이익, 일시적인 시장상황, 일시적인 우위성 획득
투자할만한 기업인가를 판단할 때 뿐만이 아니다
투자할 종목을 선정하는 논리도 '지속가능'해야 한다.
여러 투자자들이 2배 이상의 수익을 내는 종목을 발굴할 수 있다.
그러나 한번 2배 이상 수익을 낸 시장참여자가 그 이후엔 50% 손실이 연속해서 2번만 난다면 복리수익률은 0.79, 손실이다.
극단적으로 말했지만, 지속가능한 투자실력이 있지 않으면 한 두번의 전설적인 투자도 무의미하다는 말을 하고 싶다.
아주 당연한 것이긴 한데, 나는 불과 한달 전까지만해도 몰랐었다. 과거에 9000% 수익을 올렸던 사람이 파산할 수있다는 것을 알고난 뒤에는 수익률의 크기가 가장 중요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깨달았다.
자신이 선택하는 종목 선정 논리도 10번 시도 했을 때 3번 성공할까말까한다면 과거에 대박이 났더라도 재고해봐야한다.
논리가 지속가능하다면 그 사람의 수익도 지속가능해질 수 있다.
수익이 지속가능하지 않다면 오늘 보유종목이 모두 상한가를 맞더라도 의미가 없는 것이다.
지속가능함에 투자하는 것은 당장의 매혹적인 것들을 놓치는 길이 될수도 있다.
하지만 왜 선진국들이 지속가능한 에너지원에 투자하고 있는지 생각해보라. 비관적인 바보라서 그럴까?
그들이 옳다 그르다 하는 것이 아니다. 지속가능함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제야 깨달은 사람으로서 앞으로는 그에 필요한 실력과 틀을 갖추고자 한다.
좋은 주식을 고르는 방법 (0) | 2014.12.08 |
---|---|
정성적 사고와 정량적 분석 (0) | 2014.11.06 |
Valuation (0) | 2014.11.05 |
왜 어떤 기업은 IR을 열심히하는가? (0) | 2014.11.03 |
일일희비 (0) | 2014.10.17 |
Copyright © The deeper, the further. All Rights Reserved. | Designed by CMSFactory.NET
Recent Comments